데이터 파일 삭제 및 복구 원리
- IT 정보 / Pc관리
- 2018. 10. 5. 10:35
우리 일상에 필수가 되버린 스마트폰, 테블릿 PC, 컴퓨터는 우리의 일상들을 데이터화 되어 저장된다.
소중한 가족들과의 추억을 담긴 사진,영상,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노래를 듣거나 스마트폰 게임을 하기 위해선 앱을 설치를 위해 파일이 저장된다.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포스팅을 작성 할때도 서버에 각종 정보들이 저장된다. 전화 통화를 해도 통신사에 기록이 남고, 문자나, 카톡을 보거나 받아도 기록들이 저장된다.
우리가 무언가를 하게되면 수 많은 정보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화 되어 저장된다. PC나 스마트폰, 테블릿 PC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집문을 나서는 순간 CCTV에 포착되어 저장되고, 엘레베이터를 탈때도 그렇다. 운전을 할때에는 블랙박스에 기록이 남고, 교통 정보 CCTV에 기록이 된다.
이런 데이터 지표들을 누적시켜 빅데터로 발전되어 4차 산업의 꽃인 AI분야 활용된다.
도데체 데이터들은 어떤 과정 거쳐서 저장될까
데이터 저장방식
이 처럼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도 많은 정보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화 되어 저장된다. 이 데이터들은 규정화되어 저장매체 통해 저장되는데 실제 데이터와 그 데이터가 가진 메타 정보는 저장되는 위치가 틀리다. 메타정보는 그 데이터가 가진 스팩 정도로 이해하면 쉬울 것 깉다.
이해를 돕기위해 간단히 말하자면 실제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용량이 얼마인지, 저장된 날짜, 파일명등의 정보를 뜻한다.
실제 데이터와 그 정보를 가진 데이터들이 서로 떨어져 저장되어 1년 후엔 이 디스크안의 데이터 정보들이 서로 조각난 것처럼 흩어져 저장된다. 이 흝어진 정보들을 순서대로 조각 조각 모아서 데이터 정리를 하는데 이작업이 우리가 알고 있는 조각모음다.
조각모음 왜 하는 것일까? 할 일이 없어서? 심심해서? SSD가 없던 시절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때도 많이 쓰이지만 저장매체 용량 단위가 넘사벽 급인 서버에 사용되는 저장장치의 색인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하드웨어가 발전하면서 SSD가 등장하여 이 조각모음의 필요성이 사라졌다.
SSD는 엄청난 속도를 자랑하기에 사용자에겐 오히려 독이 된다. SSD는 HDD보다 전송속도가 4배이상 빨라 HDD에서 SDD로 업그레이드하면 체감속도가 확실하게 느껴질 것이다.
10GB 하드디스크에 1GB크기의 파일과 8.5GB의 파일이 저장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용량이 얼마 남지 않아 8.5GB 파일을 지우고 2GB짜리 파일을 추가 했을때 저장장치에서 어떤 일들이 발생될까? 8.5GB 데이터와 그 정보를 가진 데이터 중 어떤것이 지워질까?
우리가 생각 할 때에는 둘다 지워질꺼라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파일 정보를 가진 메타 데이터만 지워질뿐 실제 데이터는 아직 디스크에 남아 있다.2GB 파일은 실제데이터가 전에 있던 8.5GB의 실제데이터 위에 덮어씌워 진다. 즉 오버라이딩 되는데 디스크 공간에서 맨 앞에서 부터 채워져 저장되면 좋겠지만 그럴일은 거의 없다. 랜덤하게 덮어 씌우기에 예측하기 힘들다. 저 상태에서 조각모음을 하게된다면 8.5GB의 데이터 공간은 사라지고 빈공백으로 남게 된다.
1GB |
8.5GB |
1GB |
8.5GB _1 |
2GB |
8.5GB _2 |
데이터가 생성과 삭제가 반복 되면 8.5GB의 데이터를 복구하기가 상당히 까다워진다. 위에도 이야기 했듯이 복구하려던 데이터 위해 계속적으로 지워지고 덮어씌우다 보니 복구하려던 파일이 깨지고 완전 복구가 힘들어지는 것이다.
이런식으로 조각난 파일 복구는 메타정보로 복구하기 어렵다. 조각모음까지 해버리면 더욱 난감해진다. 하지만 이런다고 복구 못하는건 아니다.
국가 수사기관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데이터 카빙 또는 포렌식 기법이 있다.
미드 인기 드라마 중 하나인 CSI를 보신분이라면 디스크나 PC를 분석하는 장면을 보았을 것이다. 그 방법도 연속적인 데이터 카빙과 비연속적인 데이터 카빙법이다.
연속적인 데이터 카빙은 파일의 헤드와 구조를 분석하여 파일의 크기나 데이터 값을 계산하는 기법이고 비연속적인 데이터 카빙은 파일의 형식에 따라 특성을 이용하여 복구하는 기법이다.
즉 연속적인 데이터 카빙은 연속된 저장공간에 저장되었을때 사용하고 비연속적인 데이터 카빙은 저장매체에서 여러조각으로 분산되었때 사용된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파일을 삭제를 하려고 하는데 삭제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보통은 실행중일 경우가 있고, 읽기전용일 경우가 있다. 시스템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도 않으면서 서비스로 구동되는 프로세서들이 많다. 그럴경우 CTRL+ALT+DEL 키를 누르고 작업관리자 시작을 누르면 WINDOWS 작업 관리자 창이 뜰것이다.
응용 프로그램 탭에서 들어가서 본인이 지우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있을것이다. 그 프로그램을 선택 후 우클릭하면 프로세스 이동을 찾아서 클릭한다. 프로세스 탭에서 해당 프로세스가 선택되어 있다.해당 프로세서에서 우클릭 후 서비스 이동을 클릭하자.
'IT 정보 > Pc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계열 인터넷 연결 끊김 (0) | 2018.11.20 |
---|---|
컴퓨터 속도 점점 느려질때 (0) | 2018.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