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7 설치 후 설정

윈도우 설치 후 그냥 써도 관계 없지만 항상 발매 후에도 사용자들의 입맛에 맞지않아 자기만의 윈도우를 세팅하기도 한다. 어느정도 사용해본 사람만 가능하지 설치도 하기 버거워 하는 사용자에겐 어려운일이다. 개성넘치는 그런 셋팅이 아니라 보통 설치하면 설정하는 것들을 준비했다.  설정 중엔 어느 정도 설치도 해보고 고민을 해본 사람도 어! 이런것도 있나 라고 생각 드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이제 윈도우 7 설치를 했다면 설정을 해보자.


불필요한 시스템 아이콘 제거 

작업표시줄 속성창을 이용해 설정할 수 있는게 또 하나 있는데 바탕화면의 우측하단에 보시면 네트워크, 관리센터 등의 트레이 아이콘이 보일 것이다.   프로그램 설치하면 생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트레이 아이콘이 늘어나는 걸 방지하기 위해 설정해보자.  작업표시줄 탭에서 사용자 지정 버튼을 클릭하면 일반 알림영역 아이콘들이 표시되는데 아래 파란색 글씨로 "시스템 아이콘 켜기 또는 끄기" 가 있다. 그 메뉴를 클릭하여 원하지 않는 아이콘은 끄기로 설정하면된다.



공용 네트워크 설정


 윈도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처음에 등장 할 것이다.  네트워크 설정 별 것 아니라 생각 할 수도 있지만 요즘 '랜섬웨어' 등살에 it 관련 업체가 문을 닫는 소동도 벌어졌다.  윈도우 홈네트워크를 설정하여 사용 하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본다.  '뭐가 문제지, 그럭저럭 잘 사용하는데' 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홈네트워크는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고 CPU 사용량이 이유없이 높게나온다. 뭐 이런걸 감수해도 사용하겠다면 그냥 사용해도 좋다. 조금이라도 이런 현상을 개선하고 싶다면 "공용네트워크" 로 설정하길 강력추천한다.  


UAC기능 끄기

UAC 기능은 보안을 높여주는 기능이다. 이건 누굴 위한 보안인지 뭘 하려고만 하면 확인하고 검증받는걸 강요하는 메시지가 뜬다. 하루 이틀은 참을 만한데 계속 쓰다보면 보안을 위한닺만 편리성에서 너무 떨어진다. 나는 이런 불편한걸 다 감수 할 수 있고 맨탈이 끝판 대장급이라면 UAC기능을 그냥 설정대로 사용해도 무관하다. 

아무튼 보통 사람이 사용하다보면 정신건강에 매우 좋지않다.본은 이 기능도 끄고 사용하고 있다. 시작메뉴에서 사용자계정 사진을 클릭하시면 '사용자계정 컨트롤 설정' 이라는 메뉴가 있는데 선택 후  재부팅하면 적용된다. 매번 검시검문 받는 느낌을 탈피 할 수 있을 것이다. 


최대 절전 모드 끄기

이기능은 그다지 필요 없는듯 하다. 전기가 부족하거나 위기의 상황이라면 모를까 특히 데스크탑에서는 쓸대없이 절전 모드로 설정되어 인터넷이 꺼질 수도 있고 최대절전모드를 비활성 해보자 명롬프트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신 후 명렁어 하나면 된다. 


[ CMD 명령어 ] 

powercfg -h off



점프 리스트 제거


이게 뭐냐고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컴퓨터로 이미지 수정작업, 엑셀 문서 작업, PPT작업, 영화감상등 아무튼 수많은 작업을 하다보면 윈도우 시작 메뉴에 자주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있을 것이고 각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어진 이미지, 문서, 각종 컨텐츠 리스트들이 보여지는 것인데 솔직이 잘 쓰지도 않고 복잡하기만하다. 그 기능을 꺼보자. 말로 설명해서 뭐하나 어떤건지 구경이나 해보자. 아래는 사진은 적용되어 있는 상태다.

JUMP LIST SETTJUMP LIST SETT

이 기능을 끄게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점프 리스트 기능을 끈 상태라 복잡해 보이던 화면이 깔끔해졌다.  설정 할 마음이 생겼으면 설정해보자.



작업표시줄에서 우클릭 속성으로 들어가시면 새창이 뜨는데 거기서 시작메뉴 탭으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아래 사진처럼 "최근에 사용한 항목을 저장하고 시작 메뉴 및 작업 표시줄에 표시" 라는 항목의 체크를 해제해 준다.

체크해제 했으면  사용자 지정 설정에서 시작메뉴에 보이는 메뉴들을 안보이게 하는 등 설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점프 목록수 0으로 설정하고 확인 누르면 적용된다.


윈도우 종료시 발생되는 Task Host Window 딜레이 없애기 

 

윈도우 종료 버튼을 누르면 작업중인 프로그램이 있다고 뜨면서 종료가 늦게 된다. 솔직히 윈도우 종료가 빨리 되어야 하는데 바쁠경우 그대로 두고 외출하고 집에 왔는데 아직도 종료 중이라는 걸 보면 헛웃음이 날것이다.  Task Host Window 딜레이 관련하여 MS가 업데이트 한 것 내역도 있으니 참고 바란다.  이걸 업데이트 하면 사라진다. 첨부파일이 미심적다고 생각되면 MS에서 찾던 구글링을 하던 찾아서 업데이트 하면된다. 아래는 핫핏스 링크다 참고 바란다. 로그 오프시 연기되는 현상이 꼭 해발 되길 바란다.


WINDOWS7 HOTFIX


다른방법도 있다. 윈도우키를 누르고 compmgmt.msc 명령어를 입력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자 컴퓨터 관리(로컬)이라는 창이뜬다.  작업 스케줄러더클 클릭하면 창이 하나가 뜬다. 작업 이름과 트리거를 알수있는 창이 보여지게된다. 우리가 찾아야 하는건 CacheTask만 찾으면 된다. 


더블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실행 중이면 끝이라는 명령어가 보인다. 일단은 정지를 시켜주고 사용안함으로 설정하면 완료된다. 자 윈도우 종료나 로그 오프시 발생되는 대기시간이 개선 된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