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반응형(FastBoot) 블로그 스킨을 입히자

티스토리 블로그 반응형 스킨 FASTboot를 입히자


요즘 핫한 반응형 스킨을 티스토리에 적용하려고 한다. 이 반응형 스킨은 티에스션과 비교도 안될 정도로 편하게 아무 설정 없이 메인화면을 구성 할 수 있다. 적용할 스킨은 FastBoot로 Readiz라는 분이 제작하셔서 배포를 하셨다. 이분의 블로그로 이동해보자. 

홈페이지로 가서 내리다보면 반응형 스킨 파일이 있을것이다.

 

반응형 스킨 다운로드 

  


반응형 스킨 FASTBOOT 적용하기


위 사진처럼 FastBoot v.1.6.2 zip 파일을 다운받고 압출을 풀자. 관리자 설정에서 스킨을 클릭하면 스킨 등록이 보일 것이다. 주저말고 누르자. 그러면 스킨명을 지정과 반응형 스킨 파일을 업로드 해주면 된다. 스킨명은 본인이 마음에 드는걸로 하면된다. 저는 fastboot 1.6.2로합니다.조금전에 받아준 FastBoot v.1.6.2 zip를 압축을 풀어서 업로드를 해야합니다.



업로드는 두번하게 되는데 주의해야될것이 빨강색 사각 박스 안의 파일을 먼저 업로드를 하고 images 폴더 파일을 업로드 하면된다. 즉 처음에는 images 폴더 파일을 제외하고 업로드를 한다. 두번째에 images 폴더 안에 있는 파일을 업로드하고 저장하면 스킨만 적용 버튼만 눌러주면 끝난다.



관리자 설정에서 스킨을 누르고 PC 보관함에서 적용을 누르면 스킨이 적용이 끝난다. 모바일에 들어가서 모바일 웹은 off로 설정하고 저장하면 반응형 스킨 적용은 마무리 된다.  


반응형 스킨,반응형 웹 도대체 뭘까

반응형 스킨이라는게 참으로 생소 할 수 있다. 본인도 생소한것이 스킨이 뭘 어떻게 반응하는 거지 하면서 호기심에 적용했는데 아무래도 기존 웹페이지는 사용자의 환경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같은 속성의 웹페이지를 보여줬지만 반응형 웹(responsive web)이 탄생하여 각각의 사용자마다 디스플레이 환경을 고려하여 그 크기에 맞게 최적화하여 보여주게 된다. 즉 스마트폰으로 보는거나, 스마트 TV로 보거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로 보거나, 어떤 기기로 보더라도 최적화되어 보여주게 된다. 쉽게 말하자면 기존에는 해상도가 정해져 있어서 고사양의 PC 즉 해상도가 높게 지정된 디스플레이는 여백이 많이 남게되고, 해상도가 낮다면 일부 화면이 보이지 않게되는 형상이 발생한다. 이경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상도를 변경해줘야 한다.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 해상도와 상관없이 어떠한 환경에서도 최적화된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 반응형 웹이다.이해 안 되더라도 반응형 스킨을 적용하여 체감해보면 아 이런거구나 할것이다. 

스킨도 적용하였으니 이제 글쓰는데 집중해보자.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