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fastboot 스킨 블로그에 본문 글꼴 설정 및 사이즈 설정하기

항상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쾌적한 웹공간에 가까워질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 같다. 본인이 직접 겪었던 어려운 경험들을 정보가 되어 다른 사람들이 해결된다면 더욱 좋은일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티스토리 블로그 본문 글꼴 설정 및 사이즈 설정하기


굴림체는 오랫동안 사용한 서체이다. 그만큼 우리에게 친숙한 서체일지는 모르지만 우리나라 서체가 아니다. 우리나라 서체라 생각하고 사용하는 국민들도 많을꺼라 생각된다. 한국의 서체를 일본이 구입하여 한국에게 판매하는 일도 있었다. 서체 만큼은 국가가 라이센스 갖고 과학적으로 만들어진 한글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널리알리고 국민에게는 프리웨어 처럼 배포하여 다양한 서체로 발전하는 형태였으면 한다. 
굴림체를 대체 할 폰트는 상당히 많이 개발되었다. 힌팅 기술을 도입한 "맑은고딕"서체와 프로그래머들의 코딩용 폰트로 주로 사용하는 "나눔고딕"서체 등 가독성이 좋은 폰트들이 많이있다. 그중에서 나눔고딕 폰트를 다운받아서 티스토리 본문에 설정해보자. 네이버에서 나눔고딕을 재수정하여 배포하여도 문제가 없고 상업적 용도로 사용가능합니다. 판매는 불가능하지만 저작권과 라이선스 전문을  포함한다면 재매포 및 판매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렇게 좋은 폰트를 마음껏 사용 할 수 있게해준 관계자들에게 감사할 뿐이다.
나눔고딕을 다운받았으면 티스토리에 업로드를 해야합니다. 관리자 설정에서 HTML/CSS 클릭하고 나눔고딕을 업로드를 완료하여 저장합니다.

나눔고딕 업로드나눔고딕 업로드

CSS를 편집을 해야하니 CSS클릭해주세요.

@font-face 소스추가나눔고딕 소스 추가


@charset "utf-8"; 위에 @font-face추가작을 해야합니다. 
@font-face{font-family: 'NanumGothic'; font-style: bold; font-weight: normal; src: url('./images/NanumGothic.eot');} 


font-family: 앞에 NanumGothic, "나눔 고딕", 을추가해주세요.  

NanumGothic 나눔 고딕 추가NanumGothic 나눔 고딕 추가

이제 하나 남았습니다. 쭈욱 내리다 보면 "font-family"가 보일겁니다. 정 못찾겠으면 ctrl+f 눌러 font-family를 찾습니다. font-family: 앞에 NanumGothic, "나눔 고딕", 을추가합니다.

NanumGothic 나눔 고딕 추가NanumGothic 나눔 고딕 추가

추가를 다 하셨으면 저장을 눌러주면 적용이 됩니다. 

폰트 크기 조정

ctrl+f 눌러 post-body를 찾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반응형 스킨 Fastboot가 적용되어 있어서 본문 폰트가 12px 기본 설정되어 14px로 적용을 합니다. 본인에게 맞는 글자 크기로 설정하고 저장하세요. 수고하셨습니다. 아까 다 못한 서체이야를 이어가야 겠네요.

일본에서 만들어진 굴림서체


나루서체일본 국민서체로 유명하지요. 그 서체를 기본베이스를 두고 한글의 조형미를 조합하여 나카무라 유키히로라는 디자이너가 개발하여 1970년에 탄생하게됩니다. 이 서체가 어떻게 자리잡게 되었을까 현대에는 인터넷이 발달하여 인터넷으로 신문을 보고 있지만 1990년만 해도 조간신문, 석간신문을 구독하여 보았다. 이 신문에도 굴림서체를 채용하였기에 우리눈은 알게 모르게 적응하게 된다. 
워드프세스 프로그램 즉 문서작성용 프로그램들은 굴림서체채용하였고, 한국 MS 조차 굴림서체를 택하면서 급속도로 굴림서체는 국민들에게 자리잡게 된다. 옛선조들이 만드신 한글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서체가 채택되어 했는데..안타까운 일이다.
굴림서체는 비트맵 폰트로 글자 크기가 커질수록 번져보이고 선명하지 못하다. 이러한 일들을 해결하기 위해 폰트 개발업체들이 모여 폰트를 개발하게 됩니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널리 배포된 서체

세종대왕세종대왕


10월 9일 세종대왕께서 어여삐 여겨만든 한글을 1443년 완성하셨다. 한글날을 맞이여 네이버는 나눔글꼴 나눔고딕을 무료로 널리 배포를 하였다. 나눔고딕은 비트맵의 고질병인 사이를 늘리면 번지는 현상이 없고 더욱 선명하게 보여 가독성이 아주좋다. 
이로써 굴림서체에서 벗어난것이다. 웹상에서 보여지는 서체 뿐만 아니라 출판사에서 출간되는 책 문서등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웹상에서 보이는 것 처럼 인쇄본 또한 선명함을 유지하기 위해 힌팅 기술을 도입했으니 잡지, 광고, 현수막, 전단지 할것 없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한글 서체의 아름다움을 널리 전파되고 있다. 옛선조의 활자 기술력에 이어 이제 폰트 기술력까지 인정받는 날이 온것이다. 가독성과 눈의 편안함을 주신 분들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